만트럭버스코리아, 유로 6D 규제 충족하는
대형 카고 트럭 라인업 출시
- 지난 11월 유로 6D 중소형 및 중형 카고 트럭, 올해 2월 D38 엔진 장착 트랙터 라인업 출시, 이어 올해 4월 대형 카고 트럭 선보이며 판매 본격화
- 배출가스 저감 및 연비 개선 기술 적용해 ‘친환경과 고성능’ 모두 충족
- 이전 모델 대비 최대 4% 연비 절감
- EGR 및 SCR 시스템 최적화로 신뢰도 획기적으로 향상

세계적 상용차 생산업체인 만트럭버스그룹(MAN Truck & Bus SE)의 한국법인인 만트럭버스코리아가 유로 6D 규제를 충족하는 대형 카고 트럭 라인업을 출시하며 판매에 박차를 가한다.
만트럭버스코리아는 지난 11월 유로6D 규제를 충족하는 중소형 및 중형 카고 트럭 라인업을 선보인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트랙터 라인업 일부(D38엔진 장착 모델)를 출시했다. 그리고 이번에 대형 카고 트럭 라인업을 공개하며 본격적으로 유로6D 제품 판매에 박차를 가한다. 나머지 라인업 또한 연내 순차 출시 예정이다.
MAN의 유로6D 트럭 제품들은 연비 및 성능의 향상을 구현하는 동시에 현존하는 가장 엄격한 배출가스 규제인 유로6D 규정을 충족시켰다.
신형 MAN 대형 카고 트럭의 가장 큰 변화는 엔진이다. D26 엔진의 경우, 출력과 토크가 각각 10마력, 100Nm 증가하여 최대 출력 510마력 및 최대토크 2,600Nm을 제공한다. 또한 EGR(배출가스 재순환 장치)의 기계적 구조를 간결화하는 동시에 요소수 분사 시 압축 공기를 소모하지 않는 방식으로 SCR(선택적 환원 촉매) 장치를 최적화하여 신뢰도를 한층 높였다. 이와 함께 엔진 주변 장치의 에너지 절감형 기능을 대거 채택하여 연비를 최대 4% 향상시켰다.
안전을 위한 기능도 한층 강화됐다. 기존 XLX캡에만 적용되었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GS)의 경우 캡 사양과 관계없이 대형 카고 트럭 전 라인업으로 확대 적용이 됐다. 운전자가 반복적으로 차선 이탈을 하는 등 주행 중 위험 증후를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시각 및 청각 경고를 주는 MAN Attention Guard 시스템도 함께 적용됐다.
만트럭버스코리아 막스 버거 사장은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는 MAN TGS 및 TGM 대형 카고 트럭에 친환경과 고성능,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유로 6D 신형 엔진을 탑재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무상 보증과 유지보수 프로그램을 연계한 특별 캠페인을 마련하여 고객에게 더 큰 편익을 선사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한편, 만트럭버스코리아는 작년 3월부터 특장차 제작사 대상 기술 지원 강화를 위한 특장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여 운영 중이다. 해당 포털 사이트를 통해 특장사는 각 MAN 트럭의 섀시 도면, 기술 자료와 함께 특장차 제작 시 참고할 각종 영상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 해결을 위한 실시간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특장사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참고자료] 규제는 지키고, 성능은 더욱 강력하게! MAN 유로 6D 트럭 라인업
MAN TGS 및 TGM 대형 카고 트럭
유로 6D MAN TGS 및 TGM 대형 카고 트럭은 동급 최대 적재 능력을 갖췄다. 일반 카고 기능은 물론 탱커, 윙바디, 탑차 등 다양한 특수 목적 차량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차종은 4bag 후륜 에어서스펜션 및 강력한 스테빌라이저가 적용되어 운전 시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이 뛰어나다.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도 향상됐다. 10X4 및 8X4 카고 트럭의 경우 LX 캡에 통풍 시트와 글라스 틸팅 타입의 전동식 유리 상승 해치가 적용되어 운전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운행할 수 있다.
MAN TGX 트랙터
유로 6D MAN TGX 트랙터는 고사양의 플래그십, 프리미엄 라인부터 합리적인 사양의 이피션트 라인까지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폭넓은 라인업을 이룬다. 해당 라인업은 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된 신형 엔진을 탑재했으며 첨단 주행 및 안전 기능까지 구비했다.
전 차종에 리타더(보조제동장치)가 기본 사양으로 적용되어 최대 토크 3,500Nm에 달하는 보조제동력을 제공한다. 플래그십 모델인 TGX 640마력 트랙터는 D38 엔진을 탑재했으며 최고출력 640마력, 최대토크 306kgf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안전을 위한 기능도 강화됐다. 정체 구간에서 운전자 피로를 줄여주는 스톱 앤 고(Stop and Go) 기능이 포함된 자동 거리조절 정속주행 시스템(ACC, Adaptive Cruise Control)을 전 차종에 기본으로 적용했다.
이 밖에도 전 차종에 긴급 제동 시스템(EBA, Emergency Brake Assistant)을 비롯한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GS, Lane Guard System)과 차량 안정성 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등의 첨단 안전 사양을 트랙터 전 차종에 기본 탑재했다.
MAN TGX 640마력 플래그쉽 트랙터의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측면 모니터링 시스템(VAS)’이 탑재됐다. 이는 차량 외부에 설치된 150° 광각 카메라가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를 촬영해 실내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준다.
프리미엄 모델 이상 차종은 차선 이탈 시 차선 복귀 기능(LRA, Lane Return Assist) 및 주행 속도 변화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이 최적화되는 컴포트 스티어링(MAN Comfort Steering)을 적용해 안전과 편의 사양을 높였다.
MAN TGM 고하중 중형 카고 트럭
유로 6D MAN TGM 고하중 중형 카고 트럭은 대형 트럭에서 볼 수 있는 프리미엄급 구성을 중형 트럭에 구현한 것이 특징으로 주행 안정성과 높은 수송 능력이 조화를 이룬다. 특히 후륜에 275/70R22.5 타이어가 적용되어, 상면 지상고가 낮아지는 저상의 장점까지도 누릴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다.
국내 중형 카고 트럭 시장 최초이자 최대 너비인 2,410mm 광폭 적재함을 제공하며, 견고한 스틸 프레임 및 플로어에 알루미늄 사이드 게이트를 접목하여 내구성은 물론 실용성까지 극대화했다.
국내 중형 트럭 시장의 최대 허용 총중량 19톤을 충족하는 견고한 섀시도 특징이다. 윙바디, 냉동 탑차, 활어차, 탱크로리 등 다양한 특장차 제작이 가능하며, 프레임 내 전기 배선 및 추가분 여유 스위치가 기본 장착되어 특장 시 전기 장치 설치에 용이하다.
운전자를 고려한 공간 또한 눈에 띈다. LX캡은 1.9m에 달하는 넉넉한 실내고에 구스넥 램프, 시트 각도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프리미엄 조수석 시트, 무시동 히터 등이 기본 적용되어 장시간 운전 및 휴식 시에도 안락함을 선사한다. 또한 현장에서 힘과 내구성이 입증된 D08 엔진의 효율성을 더욱 높여 이전 모델 대비 연비를 1% 절감하는 등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이루었다.
MAN TGL 중소형 카고 트럭
유로 6D MAN TGL 중소형 카고 트럭은 동급 차량과 비교 불가한 수준의 운전자 공간, 성능 및 적재 능력을 자랑한다. 이와 함께 첨단 안전사양을 기본으로 탑재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 차종에 허용 총중량 및 후축 액슬 허용 하중을 확대 적용하여 적재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허용 총중량은 10톤이며, 후축 액슬 허용 하중은 6.8톤으로 동급 최고 수준이다.
또한, 동급 최대 길이인 6m 적재함을 제공하고, 특수 화물 수송에 적합한 전자제어식 후륜 에어 서스펜션이 더해져 다양한 특장 형태와 최적의 조화를 이룬다.
뛰어난 첨단 안전사양을 기본 적용한 것도 특징이다. 전복될 위험을 방지해주는 차량 안정성 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와 긴급 제동 시스템(EBA, Emergency Brake Assistant)을 비롯해,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GS, Lane Guard System), 긴급제동 경보 시스템(ESS, Emergency Stop Signal) 등을 탑재해 주행 안전성을 높였다.
캡 사양도 한층 향상됐다. 풀사이즈 침대와 함께 동급 최대 공간을 자랑하는 L캡에 전후 각도 조정이 가능한 조수석 등받이 및 시트가 적용되는 등 운전자는 물론 동승자까지 배려한 편안한 운전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강력한 성능의 엔진 브레이크를 기본 장착하고, 엔진 효율성을 높여 이전 모델 대비 연비를 1% 절감하는 등 추가적인 성능 향상도 실현했다.